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2-03-30 08:13:37
기사수정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29일 위원장직을 사퇴했다. 지난 2010년 12월 초대 위원장에 취임한 뒤 1년 3개월 만이다.

정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팔래스 호텔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그동안 나름 성과가 있었지만 더 이상 이 자리를 지키는 게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동반성장에 대한 대통령과 국민들의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지금 사퇴 하는 게 최선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동반성장위를 떠나지만 소신에는 변함이 없으며 사회 구석구석에 동반성장의 가치가 퍼져야 한다고 믿는다"며 "우리 사회의 발전에 필요하다면 무슨 역할으로든, 어떤 방식으로든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특히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등 대기업과 정부에 대해서도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정 위원장은 "전경련은 다시 태어나야 하고 필요에 따라 발전적 해체를 생각해봐야 한다"며 "현재의 재벌은 스스로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기업 철학을 휴지통에 넣는 것도 서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대기업이 산업화 시기에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것은 인정하지만 대부분의 대기업은 과거 독재권력과의 유착으로 몸집을 키웠다"며 "그 보호막이 사라지자 전경련이라는 보호막을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정 위원장은 "대기업의 이익 속에는 협력 중소기업의 고통 분담이 포함돼있지만 그 보상을 충분히 못받고 있다"며 "자연스럽게 그 이익이 협력기업에 흘러가도록 유도하면 우리 경제의 활력 전파될 수 있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이익공유제를 제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동반성장을 대기업의 파트너라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대기업은 협력업체와 초과이익을 공유하는 것은 교과서에도 없다고 반발했고, 포퓰리즘이라고 했으며, 재벌총수가 범죄를 저질러도 기업가 정신을 저해해선 안 된다고 엄포를 놓았다"라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정부를 향해서도 “정부도 사회적 상생 위해 어떤 책임도 지지 않고 있다”며 “ 관료들은 의미 없는 성과공유제만 고집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동반성장을 왜곡하는 이같은 현실 속에서는 위원회가 반쪽짜리 밖에 될 수 없다는 한계를 느꼈다"고 말했다.

한편 정 위원장은 "대선 출마를 할 것인가", "향후 계획은 뭔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나중에 답변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317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