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끝’ 한나라 비대위, 쇄신에 ‘올인’
- 설 전까지 ‘총선 공천기준’ 최종 확정키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 이후 제기됐던 잇단 논란들을 마무리 짓고 본 업무인 쇄신 작업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출범 이후 빚어진 ▲당 정강·정책에서 ‘보수’ 표현 삭제 ▲비대위원의 총선 출마 ▲재창당 등 잇단 논쟁들을 모두 결론짓고 12일 ‘쇄신 올인’을 선언했다.
비대위는 이날 정강·정책에서 보수를 삭제하지 않기로 결론 냈고, 외부 비대위원들은 4월 총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선언하는 한편 재창당 논란에도 종지부를 찍었다.
황영철 대변인은 12일 비대위 전체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비대위에 참여하는 외부 위원들은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지 않기로 결의했다”고 전했다. 비대위에 참여하고 있는 외부 위원은 김종인, 이상돈, 이양희, 조동성, 조현정, 이준석 등 6명이다.
또 “비대위에서는 더 이상 보수 용어 삭제와 관련된 논의를 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사실상 보수 용어 삭제를 않기로 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박근혜 위원장은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정책쇄신작업이 진행되는 와중에 ‘보수’와 관련한 논쟁이 계속 벌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실질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또 “비대위가 출범하기 전에 의원총회를 통해서 ‘재창당을 뛰어넘는 수준의 쇄신’이라는 합의를 이미 했는데, 재창당 논의가 다시 등장하고 있다”며 “국민들은 재창당이냐 아니냐 하는 외형적인 변화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쇄신의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가, 또 그것을 어떻게 실천하느냐, 이것을 보고 한나라당의 변화를 평가할 것”이라며 당 일각의 재창당 주장을 일축했다.
한편, 비대위 정치쇄신분과위는 오는 16일까지 총선 공천기준안을 마무리 짓고 의원총회를 열어 의견수렴을 거친 뒤 설 명절 전까지 새로운 공천기준을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뉴스파인더 엄병길 기자 bkeom@newsfin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