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쇄신파 "대통령 사과.747공약 폐기"
- 靑, 불쾌감 표시
한나라당 쇄신파 의원들이 4일 여권 전체가 위기에 처한 현 상황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사과를 비롯해 `대통령의 5대 쇄신'을 촉구하고 나섰다.
구상찬 김성식 김세연 신성범 정태근 등 당내 혁신파 초선 의원 5명은 이 같은 내용의 서한을 당 소속 의원들의 서명을 받아 이르면 6일 이 대통령에게 전달키로 했다.
이 대통령에 대한 한나라당 의원들의 대국민 사과 요구는 처음이다. 이에 따라 매 정권 말기마다 나타났던 당·청 대립이 여당의 10·26 재보궐 선거 패배를 계기로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들은 서한에서 "측근비리가 연이어 터져 나오는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이라고 말씀하신 것, 공정사회 구현을 외치면서 지금까지 측근 낙하산 인사가 반복되는 것, 내곡동 사저 문제, 성장의 지표가 아니라 서민의 민생고에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것 등에 대한 이 대통령의 진정성 있는 대국민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747(7% 경제성장,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7대 경제강국) 공약'의 폐기를 선언하고 성장지표 중심의 정책기조를 성장ㆍ고용ㆍ복지가 선순환하는 국정기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통령에게 직언을 못하는 청와대 참모진의 교체를 포함한 인사 쇄신, 권위주의 시대의 비민주적 통치행위로 오해받을 수 있는 실정 개혁, 정부의 잘못 및 측근 비리에 대한 신속한 처리 재지시 등을 공식 요청했다.
아울러 이들은 홍준표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에 대해서도 "대통령을 직접 대면, 국정 쇄신의 내용을 직언하고 분명한 약속을 받아야 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전달키로 했다.
한편 이에 대해 청와대는 불쾌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은 "대통령이 공무로 해외에 나가 있는 상황에서 그런 요구를 하는 게 맞느냐"라며 "서한을 받게 되면 대응 여부를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미 FTA 등 국회에서 처리해야 할 법안이 쌓여 있는 만큼 그런 일부터 먼저 처리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칸투데이 김원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