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은행 비리자금 9조원 ‘사상최대’
- 중수부, 최종수사결과 발표… 피해자 2만명 이상
부산저축은행 사태에 대한 최종 수사결과가 나왔다. 각종 토착비리의 종합판으로, 9조원대의 자금이 얽힌 사상 최대 규모의 부정부패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2일 부산저축은행 사태와 관련된 최종수사결과를 발표하며 그룹 전·현직 임원과 정관계 인사 42명을 구속 기소하는 등 총 76명을 기소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의 박연호 회장, 김양 부회장, 김민영 부산저축은행장, 강성우 감사, 박형선 해동건설 회장 등 대주주 5명을 비롯해 김태오 대전저축은행장, KTB자산운용 장인환 대표이사 등 4명이 구속 및 기소됐다.
아울러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비서관,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 원장,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 김해수 한국건설관리공사 사장, 서갑원 전 의원 등 금감원 및 국세청 공무원 등도 포함됐다.
그 외 인천 효성동 사업과 골프장, 순천 아파트, 신안섬 개발사업, 캄보디아 사업 등 SPC 관련자들이 다수 적발돼 구속·기소 처분을 받았다.
로비스트 박태규 등 브로커 8명, 공갈횡령 혐의의 전·현직 은행직원 7명, 공인회계사 4명 및 금품 공여자 3명도 마찬가지다.
검찰은 이번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가 단일 사건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금융비리 수사라고 설명했다. 관련된 비리자금이 9조원을 넘고, 투입된 수사인력만 133명에 약 3,300여명이 조사를 받았으며 총 기소건수가 117건에 이른다.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는 부산, 부산2, 중앙부산, 대전, 전주상호저축은행 등 지난 2월 영업정지된 계열사들에 대해 중수부가 3월 15일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총 8개월여간 계속된 끝에 마무리 됐다.
수사에 착수한 중수부는 박연호 부산저축은행그룹 회장을 비롯한 대주주와 경영진들이 골프, 리조트, 선박, 아파트 등 SPC를 설립해 불법으로 고객이 맡긴 돈을 끌어다 쓴 사실을 적발했고 개인 빚을 받기 위해 빼돌린 돈이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를 수사하던 과정에서 금융감독원 전현직 임직원이 검사를 무마해 준 대가로 돈을 받아 챙긴 정황이 드러나 대거 구속 기소됐고, 브로커들을 비롯해 김양 부회장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뇌물을 받아온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 원장과 서갑원 전 의원 등의 비리도 밝혀졌다.
아울러 캐나다로 도피했던 로비스트 박태규씨가 체포되면서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에게 부산저축은행 구명 청탁과 함께 억대의 뇌물을 건넸다는 진술도 확보해 김 전 비서관을 구속 기소했다.
또한 이들 수사 과정에서 영업정지 전날 마감 후 돈을 인출해간 특혜인출자들에 대한 수사도 진행돼 그 과정에서 85억원을 환수조치한 바 있다.
발표에 따르면 자기대출 4조 5,900억원, 부당대출 1조 2,280억원을 비롯해 사기적 부정거래가 2,090억원으로 총 6조 300억원에 달하는 불법대출이 있었다. 여기에 3조원대의 분식회계를 통해 대주주가 적자를 흑자인 것으로 속여 100억원대의 배담금을 챙겨가기도 해 총 비리규모가 무려 9조원을 넘어섰다.
한편 이로 인한 예금 및 후순위채 피해자는 무려 2만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파인더 최원영 기자 lucas201@newsfinder.co.kr.<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