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10-28 11:56:34
기사수정
한나라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의 정두언 소장은 28일 홍준표 대표의 10·26 재보선 무승부 발언에 대해 “지난 대선 총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한 것은 수도권에서 압승을 했기 때문인데, 지금 수도권에서 참패를 한 것이다. 무승부라고 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정두언 소장은 이날 오전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설사 선거에 이겼어도 반대한 사람들을 의식해서 겸허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데, 이긴 것도 아닌데 그렇게 얘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소장은 이번 재보선 결과에 대해 “이명박 정부 3년 반에 대한 성적표”라고 평가하며 “솔직히 부끄럽다”고 밝혔다.

이어 한나라당이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참패할 것으로 예상했느냐는 질문에 “개인적으로 예상은 했지만 생각보다 더 패배한 것 같다”며 “(한나라당은) 지난 지방선거 당시 참패했을 때 강한 경고를 받았다. 그 후 정신을 차리고 민심에 승복하고 수용하면서 민심을 얻었어야 하는데 못했기 때문에 결국 또 참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서울시장 선거의 패인에 대해서는 “IMF 이후 김대중·노무현 정부를 거치면서 양극화가 심화되고 중산층 서민의 삶이 팍팍해지자 (국민들은) 이 정부가 민생경제를 살릴 것이라고 기대해서 지지한 것”이라며 “하지만 그 후 양극화가 심해지고 중산층 서민들의 삶이 더 나빠져도 (현 정부는) 서민보다는 기업위주의 정책을 고집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정 소장은 이번 서울시장 선거 도중 나온 인물검증 논란에 대해 “어느 정도 검증은 불가피 하지만 양측 다 지나친 면이 있었다”며 “우리가 먼저 촉발한 측면도 있다. 자성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날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원희룡 최고위원이 지도부 전원 사퇴와 비대위 구성을 제안한 것과 관련해 “당초 그렇게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며 “지금 당에서 패배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없다. 지도부 교체가 능사는 아니다”고 밝혔다.

더불어 당 내 일각에서 일고 있는 ‘현 지도부는 그대로 유지하되 박근혜 전 대표를 위원장으로 총선 선대위를 조기 출범시키자’는 주장에 대해 “총선 선대위 출범 문제는 현 지도부의 개혁과 쇄신 작업의 성공여부에 달려있기 때문에 일단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특히 이번 선거에서 박 전 대표의 대세론이 흔들렸다는 일부 분석에 대해 “박 전 대표 본인도 말했지만 대세론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대세론으로 대권을 잡은 사람은 국내를 불문하고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실 박 전 대표도 그동안에 ‘부자 몸조심’ 해온 것 아니냐는 측면이 있다”며 “이제는 부자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으니 원점에서 새 출발하는 자세로 박 전 대표도 환골탈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소장은 이번 서울시장 선거 결과를 놓고 느낀 한나라당 수도권 의원들의 위기감에 대해 “지난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직후에 치른 총선에서 16석을 얻었는데 지금은 그것보다도 더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런 상태로 가면 내년 총선은 전멸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열린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3번 연속 패배해 내년 총선에서 민심의 반작용이 일어나 한나라당에 유리하지 않겠느냐는 주장에 대해서는 “민심이 갑자기 어떻게 바뀌느냐, 그렇게 생각하면 어리석은 것”이라며 “이번이 마지막이다. 이번에 안되면 우리는 소수당으로 전락하고 대선 패배도 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당 지도부가 SNS를 통해 20~30대와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대책에 대해 “20~30대, 40대를 끌어들이기 위해서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전략으로 끌어들이는 것은 아닌 것 같다”며 “결국 젊은 층의 사고와 문화를 이해하고 같은 렌즈를 쓰면서 소통하는 사람들이 우리 당의 절대다수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당이 기득권을 깨 버리고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면서 “신진인사를 대폭 영입해 세대교체를 하고, 그런 사람들을 당의 전면에 내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 소장은 야당의 한미 FTA 비준안 처리 반대와 관련해서는 “야당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듣고 최대한 수용하는 노력이 필요하지만, 그래도 안 되면 표결 처리를 하는 것”이라며 “초등학교에서도 의견이 다르다고 몸으로 막지 않는데 말도 안 되는 일이 국회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비난했다.

<뉴스파인더 박남오 기자 (park@newsfinder.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239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