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절반이상, 오세훈 손 들어줬다
- 투표결과, 시장직 연계 바람직하지 못해 61.5%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한 달여 앞두고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서울시민의 절반이상은 단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조선일보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 문안대로 물어본 결과 '소득 하위 50%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무상급식을 한다'는 58.8%, '소득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는 2011년까지, 중학교는 2012년까지 전면적인 무상급식을 한다'는 39.1%였다.
한나라당 지지층의 78.7%가 '단계적 무상급식'에 찬성한 반면 민주당 지지층의 60%는 '전면적 무상급식'에 찬성했다. 차기 대선 후보 지지층별로 보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 지지층은 '단계적 무상급식'에 각각 68%와 72.7%가 찬성했다. 반면 손학규 민주당 대표 등 야권 후보 지지층은 60%가량이 '전면적 무상급식'에 찬성했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시민 10명 중 6명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와 시장직을 연계하는 데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직을 연계하는 것은 시장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모습'이란 응답이 61.5%였으며, '진정성을 보이기 위해 투표 결과에 시장직을 걸어야 한다'는 24.7%였다.
한나라당 지지층에서는 64.3%가 시장직 연계를 반대했고 민주당 지지층에서도 과반수인 54.1%가 주민투표 결과와 시장직을 연계하지 말라는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중앙일보와 YTN-동아시아연구원(EAI)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 주민투표청구심의회가 무상급식 주민투표 문항으로 확정한 두 가지 설문을 제시하고 이 중 하나를 고르도록 한 결과 응답자의 53.2%가 서울시 안('소득 하위 50%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실시')을 선택했다.
민주당 안('소득 구분 없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는 2011년부터, 중학교는 2012년부터 실시')을 지지한 응답자는 38.1%였고, '모름·무응답'이 8.7%였다.
또 전면 무상급식을 하면 "막대한 예산 소요 때문에 세금이 늘어날 수 있다"는 입장에 대해선 응답자의 76.0%가 "공감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은 63.3%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여권에서는 높은 투표율을, 야권에서는 낮은 투표율을 기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최정숙 정치부차장 frontier1@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