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망진창인 응급의료체계를 방치해 두고 있는 정부
감사원이 작년 11월부터 지난 1월까지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 운영 실태를 감사한 결과가 가히 충격적이다. 응급이 아니라 엉망진창 의료체계다.
응급환자는 말 그대로 신속한 응급조치가 이뤄지면서 곧바로 적정한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아야 하는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 환자다.
국민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정부라면 응급의료체계 완비는 가장 기본이다.
응급의료체계는 우선 환자상태에 따라 중환자용 구급차와 일반용 구급차가 맞게 제공되어야 한다. 한데 우리는 무조건 가까운 곳의 차를 배정했다.
그래서 환자 435명 중 20%가 넘는 88명이 중환자용 구급차를 이용하지 못해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추정됐다. 신속한 조치를 받을 수 없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응급의료체계가 주먹구구식에 엉망진창, 그 자체였던 것이다.
또한 응급환자를 의학적인 판단에 따라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 아니라 80%이상의 환자를 환자나 보호자가 요구하는 곳으로 이송했다.
그래서 응급환자 459명 중 26%인 121명의 병원선정이 적절치 않은 것으로 표본 조사됐다. 응급치료에 대한 전문성이 전혀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소중한 인명을 다루는 응급의료체계가 후진국만도 못한 상태였던 것이다.
문제는 응급의료체계 종사자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2009년 한 해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가운데 29%는 관절염 재활치료자 등이었다.
응급환자도 아니면서 단지 편리하다는 이유로 응급시스템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니 필요한 환자들에게 적절한 응급 서비스가 제때에 제공될 수 없었다.
정부는 하루빨리 응급의료체계를 획기적으로 전면 개선해야 한다.
2011. 7. 20.
자유선진당 대변인 임 영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