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직업 노동 스무가지 정책과제 와 대안 7
- 인도 인권의식성장과 외국 기업 일자리 창출
생각해야 할 요소들이 많다. 특히 다른나라에 공장을 짓거나 비즈니스 진출을 함으로서 자국민과 현지인들의 일자리를 늘려 가려는 그런 정책을 생각 하는 세력들과 개인들에게 생각 해야 하는 이슈가 새롭게 등장하는 중이다.
그중의 하나가 해외 현지인들의 인권의식의 성장이다. 인간의 행복지수를 향상하는데 무엇이 긴요한가를 이들이 많이 인식하는 흐름이 강해지는 흐름이라고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렇다.
새로운 기운이 인도를 지배하는 중이다. 다국적 기업에 11억의 인도소비자들을 보고 달려오는 와중에서 나타난 인권의식이다. 인도인 들은 최근에 다국적 기업이 인도에 공장을 짓는 것을 쉽게 받아 들이지 않는 흐름을 가져가는 중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인도인의 환경을 지키면서 인간의 존엄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인 것이다. 인도인들은 이제 인권의식을 갖고 외국 기업의 인도 진출을 비판적의식으로 대하는 것이다.
인도인들은 이제 다국적 기업을 무조건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리 인도인을 위한 일자리가 파생되는 인도 진출 다국적 기업이지만 이들은 이제는 인도인의 생활 환경을 훼손하는 기업은 받아 들이지 않고 진출 반대 시위를 한다.
순응적인 성향이 강한 인도인의취향으로 보건데 이런 시위는 대단한 파워로 작용하는 중이다. 다국적 기업 중에는 철강회사, 화학 회사등도 포함된다.
이들은 인도인의 건강에 지장을 주는 배출물을 드러내면 인도국민들의 인권의식의 향상으로 인하여 상당하게 저항을 받게 될 것이다.이런 점을 알고 한국의 기업들도 인도 진출을 구상해야 한다.
경제 이전에 인권이라는 것을 더욱중요시하는 인도인들의 이런 가치추구는 인도가 국민소득이 향상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인 것이다. 이런 인권의식은 장기적으로 인도의 발전에 기여가 될 것이다.
공장이 인도에 새로 생기고, 일자리가 늘어나도 인도인들의 자연환경 보호 운동이 인도에서 서서히 태동중이다.
한번 훼손된 자연의 복구는 생각 만큼 쉬운 일은 아니라는 것을 이들이 아는 것이다. 인도인의 각성은 갈수록 강해 질 것이다.하여 이제는 인도에서 고용 창출을 미끼로 인도에 공장을 마음대로 짓고자 하는 한국기업들의 욕망도 상당한 저항에부딪힐 개연성이높아지는 것이다.
고용창출을 위한 다국적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 경영자들이 앞으로 심각하게 생각 하여야 하는 점이바로 이런 점들이다. 인도에서의 인간환경, 인간 행복 우선의 이런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직업 노동 정책을 펴가야 할 것이다.
인도만이 아니다. 개발 신흥국가 국민들의 인권에 대한 생각들이 상당히 진보적으로 변해 가는 작금의 상황에서 우리나라기업들이 진출국에 직업 창출력을 홍보하면서 진출을 하려는 시도를 통해서 얻는비지니스 이익은 제한적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연세대 직업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