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효과'에 힘 받는 與 "예산-제도적 지원"
- 황우여 "국회차원 특별법안-특위구성 여야 의견접근 이뤄지고 있어"
국민들의 환호성을 자아낸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라 국회와 정치권 차원에서 제도 및 예산지원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8일 주요 당직자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을 위해 국회차원 관련 법안과 예산 등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특히 황 원내대표는 “여야간 평창지원 특별법안과 특위구성에 대한 의견접근이 이뤄지고 있다”며 “평창 동계올림픽이 선진국과 개도국간 격차를 줄이고 남북관계도 개선할 수 있는 ‘화합과 통합’의 축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라는 점을 역설해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이어진 회의에선 당 지도부가 ‘평창 효과’를 국민에게 적극 홍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는데 구상찬 의원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로 65조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는 것이 삼성-현대경제연구소의 예측이고 직접 효과가 21조원, 간접효과는 44조원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구 의원은 또 “청년실업이 문제인데 23만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다는 산업연구원 통계도 있다”며 “특히 강원에 14만명의 고용효과가 있어, 큰 혜택이 돌아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이 같은 엄청난 대회를 유치해놓고 국민에게 어떤 효과를 주는지 알려주지 못하면 안 된다”면서 “당 지도부는 ‘평창 효과’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기호 의원의 경우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평창과 강릉의 발전만이 아니라 강원도 전체의 발전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올림픽 시너지효과뿐 아니라 올림픽 뒤 어떻게 관리하는가도 중요하다”며 “인터넷에 부정적 자료와 의견들이 올라오는데 이에 대응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한 의원은 “강원도의 지형적 특징은 구역별로 돼있고 구역간 왕래가 없다는 것”이라며 “평창 알펜시아에서 올림픽을 하면 강릉엔 영향을 미쳐도 내륙권엔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그는 “평창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강화되는 반면 다른 지역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가 있고 춘천권을 가보니까 올림픽 개최로 인해 손해가 날 것이라는 소문까지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 역시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고 대책마련 필요성을 제기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