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당대회 당헌·당규 결국 ‘원위치’
- 고성·몸싸움 등 진통 끝에 1인 2표·여론조사 30% 반영 유지

▲ 황우여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 권한대행과 정의화 비상대책위원장이 전국위원들과 인사를 나누며 입장하고 있다
7일 한나라당은 오는 7·4 전당대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 핵심 개정안을 폐기하고, 현행 당헌·당규대로 1인2표제와 여론조사 30% 반영을 유지하기로 확정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서울 신길동 공군회관에서 741명의 전국위원 중 430명(위임장 266명 포함)이 참석한 가운데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연이어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일부 위원들이 의사 결정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고성과 몸싸움으로 이해봉 전국위의장의 앞을 막아서는 장면이 연출되는 등 거센 후폭풍이 예상된다.
앞서 당 비상대책위는 전당대회 선거인단을 1만명에서 21만명으로 늘리는 대신 여론조사를 폐지하고 1인 1표제를 도입키로 의결했지만 당내 소장파 등 쇄신파와 일부 당권주자를 중심으로 반발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위임장이 발단…430명 중 266명, 위임장 내고 불참
‘1인 2표제’ 현행유지를 만장일치로 의결한 오전 상임전국위원회의 때까지만 해도 순조롭던 진행이 오후 전국위원회의에서 아수라장이 된 이유는 부득이한 사정으로 불참 시 의장에게 제출할 수 있는 ‘위임장’ 때문이었다.
이 위임장 문구에 대한 해석이 이 의장과 일부 전국위원들 간에 엇갈리면서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이 의장은 자신을 포함한 267명에 대한 의결권을 본인이 가지고 있다고 해석한 반면, 여론조사 폐지를 주장하는 전국위원들은 “회의 결론에 대한 위임장이지, 위원장 개인의 의사결정 방향에 대한 위임장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 위임장을 제출한 266명의 전국위원들을 ‘과연 출석자로 볼 수 있느냐’에 대해서도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이 의장은 20여명의 전국위원이 단상 위에 오르는 등 두 시간이 넘도록 이 문제를 두고 팽팽한 토론이 이어지자 “위임장을 제출한 위원들의 의견은 나와 같은 것으로 생각해서, 선거인단의 투표방식과 여론조사 반영 여부는 현행대로 30% 반영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겠다”며 의사봉을 두드렸다.
이에 일부 전국위원들은 “완전히 강도다”, “다 짜고 치는 고스톱이다”, “왜 바쁜 전국위원들을 지방에서 불러 쇼를 하느냐”며 격하게 반발했다.
결국 회의장을 빠져나가지 못한 이 의장은 별도의 방에서 일부 전국위원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지만 이견을 좁히지는 못했다.
-비대위 결정 뒤집는 이변 연출…“기업 주주총회에서나 가능한 일”
이번 전국위원회의 결과는 핵심 쟁점사항이 모두 현행유지로 ‘원위치’ 됨에 따라 지난달 원내대표 경선에 이어 신주류와 친박계의 승리로 귀결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반면 4·27 재보선 패배 이후, ‘쇄신’이라는 깃발을 들고 화려하게 출범한 비대위는 한달 남짓 만에 ‘무용론’까지 제기되면서 체면을 구겼다.
상임전국위와 전국위가 당헌·당규 개정을 최종 의결하는 기구임에는 틀림없지만, 대부분 박수 등으로 당 지도부의 결정을 추인해왔던 그동안의 관례에 비춰봤을 때 이날 결과는 그만큼 이례적이었다.
안형환 대변인은 “이런 예가 있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기업 주주총회에서나 가능한 일이지…”라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일각에서는 안상수 전 대표가 임명한 현재의 비대위가 인정받지 못하고 ‘황우여-정의화’ 투톱 체제라는 어정쩡한 중재안으로 결론이 났을 때부터 이미 예견된 결론이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이날 선거인단을 확대하면서 파생된 대표최고위원 및 최고위원 ‘선출’ 조항을 ‘지명’으로 바꾸는 조항과 지명직 최고위원 임명절차를 ‘의결’이 아닌 ‘협의’로 바꿔 대표 최고위원의 권한을 강화하는 당헌은 별다른 이견없이 통과됐다.
<뉴스파인더 김봉철 기자 (bck0702@newsfin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