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빠진 與 전대 룰 ‘시끌’
- “민심과 거꾸로” 지적 속 비대위 “표 등가성 원칙 어긋나”
한나라당의 바뀐 전당대회 룰을 두고 일각에서 잡음이 일고 있다.
당헌․당규 개정을 진행한 당 비상대책위는 2일 회의를 열고 전대 선거인단을 21만 여명으로 늘리는 대신 30% 반영하던 여론조사를 폐지했다. 이 때문에 선거인단이 확대된 부분을 제외하면 기존의 룰보다 오히려 폐쇄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인 2표제였던 기존 투표제도를 1인1표제로 전환한데 대해서도 또 다시 ‘계파 선거’로 치닫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여론조사를 뺀 것은 너무 갑작스럽다”고 했다. 다만 그는 “특성상 당 대표 선출과 대선후보 선출은 다르니까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이 룰이 대선후보 경선에 적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 핵심당직자는 “선거인단 숫자를 늘린 대신 여론조사를 뺐는데, 그렇다면 뭐가 민심을 더 반영하는 것이냐. 일반국민 선거인단 1만 명의 비율은 전체의 5%에 불과하다. 일반민심의 소리를 닫겠다는 뜻 아니냐”고 비판했다.
1인 1표제와 관련해서도 그는 “1인 2표제를 하게 되면 1표는 당협위원장의 의중에 따라 투표를 하더라도 나머지 1표는 소신투표를 할 수 있었다”면서 “그러나 1인 1표제로 가면 결국 계파투표를 하겠다는 것 아니냐”고 해석했다.
아울러 21만 명의 선거인단 중 19만 명의 당원 선거인단 구성에 있어서도 각 당원협의회에 주요당직자 50명 이내에서 추천권을 주고 책임당원에 우선권을 주는 등 상당부분 조직선거가 가능하게끔 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배은희 대변인은 여론조사 제외 부분은 ‘표 등가성 원칙’을, 1인 1표제에 대해선 ‘늘어난 선거인단으로 조직표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이 같은 우려들을 일축했다.
배 대변인은 “바뀐 룰을 적용하면 각 당협당 800여명 정도의 선거인단이 나오게 되는데, 이 정도 규모가 되면 조직선거가 불가능해진다고 비대위가 판단해 1표제로 결정한 것”이라고 했다.
여론조사를 제외시킨 이유에 대해서도 그는 “선거인단이 21만 명인 점을 감안하면 여론조사를 30% 반영하기 위해선 최소 6만 명이 응답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불가능하다”며 “보통 샘플이 1천명인데 그렇다면 1명의 응답을 60표로 계산해야 하는데 이는 표 등가성 원칙에 어듯난다고 해서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뉴스파인더 김의중 기자 zerg@newsfin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