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6-03 05:13:31
기사수정

여야는 2일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저축은행 비리 파문을 둘러싸고 상호 폭로전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거친 발언이 쏟아졌고, 고성이 오가며 험악한 분위기도 조성됐다.

한나라당 장제원 의원은 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가 최근 당 저축은행진상조사위원장에 선임된데 대해 “박 전 대표는 뇌물사건으로 옥살이를 한 분인데 저축은행 진상조사위원장 자리에 앉혀 소모적 전쟁을 일으키고 있다”며 “적반하장도 유분수”라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권력형 비리에 가타부타 말할 자격이 없는 사람을 위원장직에 앉힌 것 자체가 국정조사의 의미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했다.

이어 “박 전 대표는 의혹제기의 달인”이라면서 “막말정치, 폭로정치, 공작정치를 하면서 막장 드라마를 연출하는 이유가 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손학규 대표를 향해서는 “진정한 대한민국 지도자가 되려면 박지원과 단절하라”며 “전 권력의 핵심에 있는 사람을 중용해 서민의 눈물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손학규식 정치라면 그것은 국민에 대한 배신”이라고 비판했다.

위험수위를 넘나드는 장 의원의 발언이 계속되자 민주당 의원들은 야유를 퍼부으며 거세게 반발했고, 반말과 고성이 오가면서 정의화 국회부의장이 장내를 정리하는 등 한바탕 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부산이 지역구인 장 의원은 부산저축은행 비리사태로 직접 피해를 본 서민들을 만난 후 느꼈던 점들을 얘기하며 “실질적 도움이 되는 해결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정부가 ‘은행’이라는 칭호를 부여하지 않고 매년 관리감독을 잘 했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라며 이를 ‘내셔널 해저드’라고 규정했다.

장 의원은 “나름의 해법을 제시하겠다”며 △모든 미지급 채권을 보상할 수 있도록 매각하는 방안과 △한시적 특별법을 발의해 피해 서민을 구제하는 방법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김 총리는 “(채권) 매각 시 인수가액 차이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금융위에서 가능한지 검토를 하고 있다”고 답했고, 특별법 제정에 대해서도 “국회에서 제정하는 것은 자유지만 역시 큰 틀에서 보면 문제가 있는 법이라는 평가를 받을 소지가 있다. 다방면으로 법률적 틀 안에서 해결하는 방법을 강구하도록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같은당 진성호 의원도 정부의 늦장대처를 지적하며 김 총리를 향해 “저축은행 사태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김 총리는 “(이번 저축은행 비리는) 누적된 문제고, 불법대출 등은 이미 감사 이전에 다 곪을 대로 곪은 문제”라며 “벼락같은 조치를 취했다 해도 현재 결과와 어떤 차이가 있겠는가. 이것은 작년 하반기 문제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김 총리는 책임 공방을 둘러싸고 ‘누적된 정부실패인지 대주주의 모럴해저드인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제일 첫째는 대주주 경영인 모럴 해저드 문제다”라고 말했다.

<뉴스파인더 문소영 기자 sysmoon2k@newsfinder.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11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