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5-31 11:19:34
기사수정
일부 언론이 부산저축은행그룹이 구명로비를 시도하면서 청와대 고위인사를 접촉했다는 의혹을 제기한데 대해 청와대가 이를 전면 부인했다.

이와 관련, 로비대상의 당사자로 지목된 청와대 관계자는 30일 “(검찰출신으로 브로커 역할을 한) 박 모씨에게 전화를 한 차례 받은 것은 사실이나, 저축은행 얘기를 하길래 업무소관이 아니라서 대꾸도 않고 끊어버렸다”며 “왜, 이런 얘기가 나오는지 모르겠다”고 언급했다.

특히 청와대는 부산저축은행 고문변호사였던 박 모씨가 부실 저축은행 퇴출저지를 위해 청와대 고위인사에 로비를 시도했다는 의혹은 “본질을 흐리기 위한 고의적 음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는 저축은행과 관련해 어떤 형태의 청탁도 들어준 적이 없다”고 밝혔고 또 다른 참모는 “청와대 진정 및 탄원서는 국민 누구나 넣을 수 있는 것”이며 “우리는 이 부분에 전혀 관여한 적이 없는데도 허위주장이 나도는 것은 문제”라고 언급했다.

또한 일각에선 저축은행 비리에 대해 야권인사들의 이름은 거명되지 않고 여권인사들만 거론되고 있어 비리 연루자들의 진술에도 불순한 정치의도가 있다는 지적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편 청와대는 이명박 대통령의 친인척 또는 측근들에게 이상 징후가 감지될 경우 즉시 사전 경고를 내리거나 주의를 주는 등 예방활동을 강화키로 한 것으로 전해져 주목되고 있다.

이는 은진수 전 감사위원이 부산저축은행 수뢰혐의로 이날 전격 구속된 것을 계기로 대통령 친인척이나 측근들이 아무리 작은 허물이라도 있을 경우, 임기말에 가까워질수록 정권 전체에 예상치 못했던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이뤄진 예방조치로 파악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임기후반일수록 불미스런 일의 파급효과가 커 예방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친인척-측근관련 작은 첩보라도 사전 경고하거나 주의를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본인에 대한 직접적인 경고나 주의가 우선이지만 이와 동시에 상시적인 감찰활동도 강화하고 있다”고 전제한 뒤 “이는 역대 정권에서도 항상 해왔던 일”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민정수석실은 감사원을 비롯한 사정기관의 지원을 받아 대통령 친인척-측근들에 대한 현장확인 및 면접조사를 강화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사찰논란으로 번질 것을 우려해 친인척과 측근들이 아닌 사람들의 경우 감찰대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113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