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룰戰 이긴 박근혜, 당내 영향력 강화
- 비대위 친이-친박-소장 등 계파간 첨예한 대립에 최종표결 못 붙여
한나라당이 치열한 격론이 펼쳐졌던 전대룰 논란과 관련해 현행 당헌-당규를 그대로 적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31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나라당 비대위는 앞서 예고된 바와 달리 쟁점 현안들에 대한 최종 표결을 회부하지 못하고 박근혜 전 대표가 제시했던 가이드라인에 맞춰 전대룰을 확정했다.
특히 이번 결정으로 유력 대권주자인 박 전 대표의 당내 입지와 영향력이 한층 강화된 것으로 보여 앞으로 여권 내 당권 및 대권 경쟁에서 어떤 결과가 도출될 것인지 주목되고 있다.
우선 비대위는 지난 30일 오후 핵심 쟁점인 대권-당권 분리는 물론 대표-최고위원 선출방식 역시 현행 당헌-당규를 그대로 적용키로 했다는 결과를 발표해 정치권의 관심을 모았다.
단 선거인단 규모를 21만명으로 대거 확대키로 한 점만 달라진 것인데, 비대위는 막판 협상타결을 모색했으나 대권-당권 분리를 비롯한 쟁점사안에 대해 계파간 대립각은 여전했다.
마라톤 회의와 치열한 격론 끝에 이 같은 결론을 내린 비대위 정의화 위원장은 “전대룰과 관련해 합의된 부분은 합의된 대로, 합의가 안된 부분은 현행 룰을 따르도록 결정했다”고 전제한 다음 “미세한 부분의 경우에는 당헌-당규소위에서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라고 언급했다.
따라서 대선주자에 상임고문 역할을 주고 대선후보 예비등록도 240일에서 365일전으로 하는 안 및 대표가 최고위원 2명을 직접 지명하는 등 중재안의 논의는 결국 소위로 넘어갔다.
이와 관련, 정 위원장은 “그동안 거론됐던 중재안에 대해서는 소위에 위임했다”면서 “소위에서 의결하는 것이 아니고 의견을 수렴한 뒤 전체회의에서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이어 8차례 회의에서 대권-당권 분리와 대표-최고위원 분리선출 문제를 놓고 격론이 이어졌으나 끝까지 의견대립 때문에 계파간 접점을 찾지 못했다는 점까지 시인했다.
그러나 당초 예상된 최종표결이 이뤄지지 못한 것에 대한 비대위 차원의 설명은 없었는데, 비대위는 표결로 내홍이 확산되는 상황을 우려했다는 정가 관계자들의 후문이 나오고 있다.
한편 이번 한나라당 전대룰 결정과 관련해서 박 전 대표의 입장이 모두 반영됐다는 점에서 박 전 대표는 앞으로 실시될 전당대회는 물론 차기 대권경쟁에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됐다.
이에 반해 일각에선 박 전 대표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맞춰 전대룰이 결정된 것은 공당으로 공정성보다 유력 대선주자이자 계파의 수장의 입김에 따르는 ‘줄서기’가 이미 시작된 것이라면서, 그동안 발전해온 당내 민주적 논의에 방해가 됐다는 지적까지 제기되기도 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