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5-30 05:23:25
기사수정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아성이 높아지고 있다. 총선과 대선이 다가오면서 박 전 대표 쪽에 사람이 몰린다.

당내 대선주자로서는 유일하게 두 자릿수 지지율을 갖고 있는데다 여야를 통틀어서도 1위를 달리는 그다. 자연스레 친박으로 권력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도다.

친이 주류를 밀어내고 비주류였던 친박 황우여 원내대표를 선출한 건 박근혜 바람이 새롭게 불고 있다는 증거로 통한다. 소장파 의원들도 미래권력인 박 전 대표에 동조했다.

당내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가 결성되면서 친이 소장파와 친박 간 연대는 더 돈독해졌다. 세부적으로는 삐걱대는 모습도 보이지만 큰 문제는 없다는 게 중론이다. 최근 당을 달구고 있는 당권-대권 분리를 규정한 당헌개정 문제에 대한 입장이 이를 뒷받침한다.

당권-대권 분리 문제는 새 당 대표를 뽑는 7.4전당대회에 앞서 대선주자가 출마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가리는 핵심요소다. 여기서 친이 직계 의원들은 개정을 주장한 반면, 소장파와 친박계는 ‘현행 유지’로 입을 모았다.

박 전 대표가 최근 황 원내대표와 만나 관련 규정을 개정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개혁의 후퇴”로 규정한데 따른 것이다.

물론 소장파 입장에선 거물이 빠져줘야 설 자리가 있을 것이란 계산도 깔려 있다. 그래도 박 전 대표의 뜻이 ‘현행 유지’에 있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두 말이 나오지 않았다.

이후 국회의원과 당협위원장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51:47로 ‘현행 유지’ 의견이 많았다.

당 바닥 민심도 대세를 따르는 듯 보인다. 책임당원을 상대로 1천명이 응답할 때까지 여론조사를 했는데, 여기서는 두 자릿수 이상의 차이로 ‘현행 유지’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당헌 개정의 최종안은 30일에 나온다. 비상대책위는 의견이 일치되지 않을 경우 표결에 부치겠다고 했다. 박근혜 대세론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한 가지 관심을 끄는 건 주말 또는 내주 초로 예정된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 회동이다.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를 ‘대세’로 얼마나 인정하는지 가늠해 볼 수 있다.

한 친박 중진 의원은 “폭넓은 논의가 오갈 것이다. 특히 박 전 대표가 생각하는 정국 구상이나 정책의 틀을 이 대통령이 얼마나 공감할 지가 관심사”라고 했다.

박 전 대표의 ‘대세’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만만치는 않다. 당내 대권싸움도 치열할 때 본선 경쟁력이 담보된다는 논리가 뒤따른다. 이는 과거 이회창 총재를 겪은 당 사람들은 대부분 공감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나온 군소 대선후보군의 박 전 대표 비판 발언은 당 전체 입장에선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당권-대권을 통합에 박 전 대표가 반대할 때 정몽준 전 대표는 당장 “무엇을 위한 원칙이고 무엇을 위한 당헌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따졌다.

투자유치를 위해 중국방문에 나선 김문수 경기지사는 현지에서 기자들에게 “박 전 대표의 권력이 과거 신라시대 선덕여왕보다 더 세다”고 했다. 박 전 대표 말 한 마디에 당 전체가 움직인다는 비판이다.

정 전 대표와 김 지사가 잇달아 거친 발언을 쏟아내자 일각에선 “지지율 낮은 후보의 조바심 때문”이란 지적과 함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되는 것 같다”는 얘기가 나왔다. 권력싸움에 진저리가 처지는 한나라당이지만 한편으론 반가운 신호탄이란 해석이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 의원은 “그 정도로 대세가 꺾이겠느냐”며 농담을 건네면서도 “정 전 대표와 김 지사 간 연대설도 계속 나오는데 좋든 싫든 건전한 경쟁은 당으로써도 좋은 것 아니냐”고 했다.

<뉴스파인더 김의중 기자 zerg@newsfinder.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111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