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관의 여제' 박근혜 전 대표 역할 본격화되나
- "내년엔 좀 더 적극적으로"… 與쇄신정국 맞물려 주목
4.27 재보선 참패이후 당정청 여권 쇄신론과 내년 총선 및 대선이 맞물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역할론이 주목되고 있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선거패배 책임론으로 당 지도부 총사퇴 및 비대위 체제가동과 이르면 이날로 예정된 개각, 이달말 청와대 참모진 개편 등 쇄신의 소용돌이 속에서 유력 차기 대권주자이자 한나라당의 실세인 박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야 할 것이란 여론이 빗발치고 있다.
이와 관련, 대통령 특사로 유럽을 순방 중인 박 전 대표는 지난 5일 “내년에는 중요한 선거들이 있고 활동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좀 더 적극적으로 (하겠다)”라고 밝혔다.
최근 부상한 역할론에 대한 이 같은 답변은 명확하게 활동시점을 못 박진 않았으나, 어떤 식으로든 여권 쇄신정국에서 역할을 다할 것이란 점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것으로 분석된다.
정가에 따르면 ‘박근혜 역할론’은 우선 직접적으로 당직을 맡거나 당권-대권분리 원칙하에 당직은 맡지 않고 현안에 대한 입장을 적극 표명하는 등 2가지 행보를 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년 4월 총선결과가 박 전 대표의 대권행보에 중요한 기점이 될 것이란 주장에 이견이 없는데 책임을 지도부에게 맡겨온 종전과 같은 태도는 안 된다는 의견이 속출하고 있다.
실제로 박 전 대표는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패한 뒤 사실상 눈에 띄는 활동을 보이진 않았는데 내년 총선에서 역할 없는 대권행보는 무리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다만 박 전 대표는 “한국에 돌아가서 (역할론에 대해 결정)하죠. 할 필요가 있을 때…”라고 즉답을 피했는데 당장 이날 신임 원대대표가 선출된 뒤 또는 오는 6-7월경으로 예상되고 있는 조기 전당대회 개최시점에 맞춰 어떤 행보에 나설 것인지 결정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한편 친박계에선 박 전 대표의 역할과 관련해 당권장악 필요성과 대권에만 전념해야 한다는 이견이 맞서고 있는데 우선 홍사덕 의원은 “대권후보가 당을 실질적으로 장악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언급해 당권-대권 분리를 규정한 당헌당규 개정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반면 또 다른 친박인사는 박 전 대표가 예전과 같이 정부-청와대와 거리를 두고 당직 역시 맡지 않고서 오로지 야당 대권주자들에 맞서 ‘정권 재창출’을 위해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