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이제 우리 모두 죽을 때가 왔다"
- 1년동안 '한나라당 구하기 묘법' 누가 정리하나?… 당정청에 쓴소리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한나라당의 참패로 끝난 4.27 재보선에 대해 여당에 대한 국민의 애정이 식고 있다며 죽을 각오로 변해야 한다고 쓴 소리를 했다.
김 전 의장은 지난 28일 자신의 블로그에 ‘이제 우리 모두 죽을 때가 왔다’는 제하의 글을 올려 선거참패에 대해 “당 지도부가 교체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이번엔 죽어도 4년 뒤, 8년 뒤를 보고 정치하자”고 당정청 여권 전반에 걸쳐 강력한 쇄신이 추진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김 전 의장은 “대통령도 바뀌어야 한다. 일만 열심히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다”며 “레임덕은 필연으로 오늘부터 시작됐다. 불가피하다면 인정하고 들어가야 한다”라고도 언급했다.
그는 이어 “청와대와 한나라당은 운명 공동체이지만 방법과 수단, 절차는 다를 수밖에 없다”며 “이를 하루라도 먼저 인정해야 레임덕의 고통이 덜해진다”고 대통령과 청와대를 향해 쓴 소리를 했고 이재오 특임장관을 겨냥한 듯 한 발언엔 불편한 감정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실제로 김 전 의장은 “정치가 비뚤어지고 누가 2인자인양 호가호위(狐假虎威)해도 제어가 안 된다”며 “대통령의 권위-체면이 구겨지고 있어도 처삼촌 묘 벌초하듯 한다”고 비난했다.
김 전 의장은 또 “정부도 바뀌어야 한다. 재벌을 미워하고 노조와 싸우고 노조조차 못 만드는 대다수 노동자를 감싸 안지도 못하는 정부”라며 “결단의 시기에 책임을 미루고 현장의 목소리는 외면하고 책임지지 않는 사람이 살아남는 이상한 정부가 또 있느냐?”고 지적했다.
더불어 김 전 의장은 “한두 명의 스타플레이어로는 당을 구할 수 없다. 진정 죽을 각오가 돼 있어야 한다”고 전제한 뒤 “계보정치, 패거리정치, 나 살고 너 죽기 정치가 부활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혼자 살려다 결국 먼저 죽는다. 모두 죽는다”고 여당의 반성과 쇄신을 촉구했다.
그는 또 “국민이 보기 싫어하는 정치인은 이제 그만 두라”며 “내가 그 정치인이 아닌가 가슴에 손 얹고 생각하라. 죽어도 4년-8년뒤를 보고서 정치하면 혹시 살지 모른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지난 28일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자신의 개인 블로그에 올린 글의 전문이다.
“이제 우리 모두 죽을 때가 왔다” - 재보선 참패의 새벽에
인물에서 졌다. 전략에서도 졌다. 무엇보다 한나라당에 대한 국민의 애정이 식어가고 있다. 쉽게 살아오고 쉽게 정치하고 쉽게 당선된 한나라당 국회의원들에게 쇠망치가 한 방씩 떨어졌다. 한두 명 스타플레이어로는 당을 구할 수 없다. 지도부 교체가 당연하다.
하지만 지도부를 교체한다고 국민의 애정과 기대 심리가 돌아올 리도, 회복될 리도 없다. 비상체제 가동, 과감한 세대교체, 실세 전면 복귀 등도 모두 일리는 있지만 정답은 아니다. 진정 죽을 각오가 돼 있어야 한다. 그래도 내년에는 살아남기 힘들다. 이번에는 죽더라도 4년 후, 8년 후를 보고 정치하자. 그러면 혹 살는지 모른다. 정치 안 해도 좋으니 이것만은 지켜나가겠다, 아니 지키기 위해 나는 죽겠다, 그런 사람이 한나라당에 몇 명이나 있는가.
한 달을 하든, 4년-8년 국회의원을 하든 한번 한 것이다. 그랬으면 됐다. 무엇을 더 바라는가. “나 아니면 안 된다”고? 국민 웃기는 소리 이제 그만해라. 국민이 보기 싫어하는 정치인은 이제 그만 두라. 떠나라. 그 정치인이 바로 내가 아닌가,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라.
정부도 바뀌어야 한다. 재벌을 미워하고 노조와 싸우고 노조조차 못 만드는 대다수 노동자를 감싸 안지도 못하는 정부, 결단의 시기에 책임을 미루고 현장의 목소리는 외면하고 책임지지 않는 사람이 오히려 살아남는 이상한 정부가 하늘 아래 또 있는가. 대통령도 바뀌어야 한다. 일만 열심히 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정치가 비뚤어지고, 누가 2인자인양 호가호위해도 제어가 안 되고, 대통령 권위와 체면이 구겨지고 있어도 처삼촌 묘 벌초하듯 한다.
레임덕? 필연이다. 오늘부터 시작됐다. 불가피하다면 인정하고 들어가야 한다. 즐기면서 당하면 고통은 덜하다. 청와대와 한나라당은 운명 공동체다. 그러나 방법과 수단과 절차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것을 하루라도 먼저 인정해야 레임덕 고통이 덜해진다. 신뢰와 소통이 전제되지 않으면 갈등만 빚다가 막을 내린다.
문제는 “지금부터 쏟아져 나올 ‘한나라 구하기 묘법’을 누가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다. 민주적 리더십도, 전통적 권위도 없는 한나라당이라서 계보정치, 패거리 정치, 나 살고 너 죽기 정치가 부활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모두 버려야 한다. 죽을 각오를 해야 한다. 혼자 살려 하다가는 결국 먼저 죽는다. 모두 죽는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 하늘은 우리에게 1년이란 시간을 주었기 때문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