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4-27 23:32:59
기사수정
청와대가 국정현안으로 대두된 일자리 문제와 관련해 신구(新舊) 세대간 상생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와 관련, 청와대 김용환 국정과제비서관은 27일 청와대 정책소식지를 통해 정년시점을 맞아 대규모 퇴직이 예정돼있어 사회적 이슈로 제기될 소지가 큰 ‘베이비붐’ 세대와 구직난에 시달리고 있는 청년세대가 일자리 문제에 대한 ‘상생의 합의’를 이룰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김 비서관은 “저출산-고령화로 베이비붐 세대가 60대가 되는 10년 뒤 경제활동 인구가 급감하고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될 전망”이며 “향후 5-10년간 경제활동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기 때문에 일자리 문제에 대한 세대간 합의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란 점을 역설했다.

그는 이어 “향후 10년간 150여만명의 베이비부머가 퇴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대규모의 숙련인력들이 일시에 고용시장을 빠져나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따라서 그는 “베이비부머의 경험과 일에 대한 열정을 어떻게 청년세대와 갈등 없이 활용하고 시너지효과를 제고할지 상생의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베이비부머가 가진 대량소비 주체, 자산보유 중견세대, 부동산세대, 일에 대한 열정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 비서관은 “평생교육을 비롯한 재교육-사회봉사, 7080으로 대표되는 소비산업, 주택시장, 연금 및 보험대책을 어떻게 마련할지 다각적이고 심층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083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