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 결과에 잠룡도 울고 웃는다
- 박근혜,손학규,유시민이 직접적인 대상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진행된 4.27 재보궐 선거의 의미는 깊다. 향후 정국 주도권의 키를 쥔다는 점에서다.
지역별 승패 여부에 따라 이명박 정부가 임기 말까지 순항할 지 아니면 레임덕이 가속화될 지도 선거 결과에 달렸다.
차기 대선주자들 입장에서도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직접적인 대상이다.
초미의 관심을 모은 경기 성남 분당을에선 야권 유력주자인 손 대표가 직접 출마했다. 이곳이 본래 한나라당의 텃밭이라고는 하지만 현재의 민심은 여야 박빙으로 평가되고 있다.
여야 모두 총력을 기울였고 분당 선거 결과가 곧 선거성과로 평가되는 분위기다. 그런 만큼 부담도 큰 지역이다.
손 전 대표는 패배 리스크에 대한 부담을 안고 시작한 게 사실이지만 승패 여부를 떠나 크게 손해 보는 장사는 아니라는 의견이 많다.
승리하면 대권가도가 탄탄해진다. 원내로 진입하는 동시에 당내 세 확장도 꾀할 수 있고 대표로서의 위상도 높아진다. 지지율도 상승곡선이 예상된다. 그야말로 대박이다.
설사 낙마한다 하더라도 표차가 크지 않다는 전제 하에 대권경쟁력에 치명적 손상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졌지만 상대 텃밭에서 선전한 만큼 책임론에서도 어느 정도는 자유로울 수 있다는 얘기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대권주자로 나선 사람이 정치적 계산 없이 분당에 출마했겠느냐”고 했다.
유시민 참여당 대표는 김해을과 운명을 함께 한다. 야권후보단일화 과정에서 여론의 비판을 받으면서까지 자당 이봉수 후보에 유리한 룰을 관철시켰다.
그러기에 패할 경우 더 쓰라릴 수 있다. 당장은 야권연대의 실효성에 문제가 제기되면서 비판의 도마에 오르게 된다. 경선 과정의 문제가 다시 불거질 것도 불 보듯 뻔하다. 경선룰에 불만을 품어 온 민주당 등 다른 야당도 크게 벼르는 분위기다.
반대로 이 후보가 당선된다면 참여당을 원내로 진입시키면서 큰 정치적 의미를 갖게 된다.
동시에 대선주자로서의 이미지와 품격이 상승하고 향후 야권연대나 당대 당 통합을 진행하는데 있어 목소리에 힘을 받을 수 있다. 유 대표로선 정치적 명운을 걸었고, 참여당의 미래도 여기에 달렸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경우엔 선거운동에 나서지 않은 만큼 재보선 책임론과는 무관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다만 일각에선 박 전 대표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지원을 위해 두 차례 강원도를 방문한 적이 있다는 이유로 이미 발을 담갔다고 말한다. 여기서 질 경우 ‘선거의 여왕’이라는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전체 선거 결과에 따라선 장단이 있다. 한나라당이 졌다는 평가를 받으면 곧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는 대선 ‘독주’에 일정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
반면 공천에 관여한 친이계가 직접 타격을 받으면서 친박의 당내 입지는 오히려 강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편 친박계 한 중진 의원은 “이번 선거 결과와 박근혜 전 대표는 무관하다”라고 했지만, 민주당에선 “이기는 선거만 지원하는 것인가 하는 의혹이 든다”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뉴스파인더 김의중 기자 zerg@newsfind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