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3-28 19:58:31
기사수정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동남권 신공항의 국토해양부 건설 입지평가 결과가 30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가 내부 논의 결과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국토해양부 입지평가위는 그동안 동남권 신공항 후보지로 꼽혀온 부산 가덕도(부산 지지)와 경남 밀양(대구·경북 지지) 모두 경제성이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내릴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이는 사실상 동남권 신공항을 백지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신공항이 건설이 무산될 경우 기존의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모든 면을 고려해봐도 신공항을 새로 짓는 것은 필요없는 일"이라며 "김해공항을 증축하면 될 일"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공항은 항만과 연계돼야 하는 만큼 김해공항을 증축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이라며 "동남권 신공항 설립이 대통령 공약이기는 하지만 국가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면 다시 고려하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서로 경쟁해 왔던 두 지역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또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던 이명박 대통령도 어떤 식으로든 입장 표명을 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 조해진(밀양·창녕) 의원은 "아직 최종 결론이 안 난 걸로 알고 있다"며 "김해는 경제성 조사 자체가 안 돼 있는데 김해공항 확장 얘길 하면 말이 안 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에 밀양, 가덕도에 부적격 판단을 내린다고 해서 사태가 가라앉는 게 아니다"며 "내년 총선에서도 계속 추진하고, 대선 후보들도 다시 공약으로 들고 나오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가덕도 유치를 추진해온 한나라당 이진복(부산 동래) 의원도 "김해공항 확장이 쉽지 않아 동남권 신공항을 추진하게 된건데 다시 김해로 가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지금 당장이 아니라 미래를 보고 신공항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남권 신공항은 2006년 12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산 기업인들의 건의를 받고 검토를 지시하면서 거론되기 시작했고, 이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인 2007년 8월 영남권 신공항 건설을 공약했다. <칸투데이 박형규기자>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058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