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거취논란, '핵폭풍인가 미풍인가'
- 李대통령에 서한 보내 사의표명… 한 전략공천 사실상 물 건너가나
정운찬 전 총리가 동반성장위원장직을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이명박 대통령에게 서한으로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 전 총리는 최근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비난한 것으로 전해진 임태희 대통령실장, 지경부 최중경 장관을 겨냥한 듯 정부의 동반성장 의지를 의심케 만드는 인사들에 대해서 적절한 조치가 없다면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 주류세력이 4.27 재보선에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분당을에 출마한다는 것을 전제로 정 전 총리를 전략 공천할 의사를 내비치고 있는데 반해, 정 전 총리 본인은 이를 모두 거부하고 있어 ‘정 전 총리 카드’는 사실상 물 건너간 셈이란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한 정가 관계자는 “정 전 총리가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에 힘을 실어줘야 할 정부 인사들이 초과이익공유제에 반대의견을 피력한 것이 안타깝다고 밝힌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향후 재보선 공천이나 동반성장정책 추진에 일부 지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 전 총리가 사의를 표명하고 정부-청와대에 불만을 표시한 것은 여당 주류세력이 노리는 전략공천이 불가능해졌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4.27 재보선 분당을에 출마할 여당 후보로는 강재섭 전 대표와 박계동 전 의원 등으로 좁혀지고 있으며, 민주당 손학규 대표 차출론도 점차 수그러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가에선 만약 정 전 총리가 정부와 등을 지고 사퇴를 강행한다면, 그간 한나라당 영입에 공을 들여온 이재오 특임장관과 재보선 전략을 책임지고 있는 원희룡 사무총장의 입장은 난처해질 것으로 보이며 당내 역학구도까지 변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더욱이 대통령이 강한 의지를 밝히고 있는 동반성장정책 추진이 초과이익공유제 논란으로 인한 정 전 총리의 사의로 사실상 ‘빛 좋은 개살구’까지 전락할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한 정치권 관계자는 “동반성장정책을 제대로 추진해보지 못하고 정 전 총리가 사퇴하면 대통령의 정책추진 의지가 박약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면서도 “정 전 총리가 차기 대권주자로 몸값을 올리려 의도된 행동을 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그는 또 “당장 분당을 보선 전략공천을 거론해온 여권 주류세력의 입지를 위태롭게 할 가능성이 다분하지만 일각에선 오히려 ‘공직을 사퇴하고 출마를 준비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 이래저래 정 전 총리의 거취문제가 정가에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