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3-18 12:32:27
기사수정
북한이 백두산 화산 문제를 협의하자고 우리에게 제의해 왔다.
느려터진 우리 정부는 백두산 협의 제안마저도 북한에게 선수를 뺏겼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이 지난해부터 국회 본회의와 상임위원회를 통해 백두산의 폭발이 가까웠다며, 인접 국가들과의 대책회의 마련을 줄기차게 촉구했건만 우리 정부는 마이동풍이었다.

이번 일본 대지진 직후인 나흘 전에도 국회 외통위에서 “백두산 화산이 폭발하면 6자회담국이 피해볼 수 있으니, 중단된 6자회담을 대재앙을 논의할 6자회담으로 성격을 바꾸자”고 구체적 해법까지 제시했으나 쇠귀에 경 읽기였다. 한심한 정부다. 일본을 핵공포로 몰아가는 대지진을 보고도 정신을 차리지 못한 것이다.

백두산 화산폭발의 위험성은 바로 북한의 잦은 핵실험 때문이기도 하다.
이제라도 정부는 북한이 제의한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치밀한 주변국들과의 협의체구성과 구체적방안을 마련해 수정제의해야 한다.

백두산이 폭발하면 아이슬란드 화산폭발의 100배의 위력을 발휘할 것이고, 그 영향은 남북한은 물론, 일본과 중국, 멀리는 미국과 러시아까지 미친다.
백두산 인근지역에서는 이미 화산가스가 분출하고 있다.

중국의 학자들은 2014~2015년 백두산이 폭발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나친 공포심도 문제지만 지나치게 낙관적인 태도 또한 심각한 문제다.

우리 기상청은 화산 감시체계를 구축하겠다지만, 감시만으로는 백두산 화산 폭발시의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대재앙은 확률문제도 아니다.

북한의 열악한 핵시설은 백두산 화산폭발을 더욱 우려스럽게 만들고 있고,백두산이 폭발한다면 북한 핵시설이 어떤 재앙을 초래할 지 끔찍하다.

동시에 백두산 관련 6자회담이 이뤄지면 자연히 북한의 핵문제도 거론된다.
잔뜩 엉켜있는 북한의 핵 실타래를 풀 수 있는 실마리도 바로 백두산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는 반드시 ‘연구’와 ‘대책’ 마련에 한정해야지, 정치문제로 비화하거나 대가를 지불해서는 안 된다.
백두산은 백두산이지, 정치문제가 아니다.

2011. 3. 18.

자유선진당 대변인 박 선 영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050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