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1-03-10 07:08:22
기사수정
상하이 스캔들과 관련, 김정기 전 총영사에 대한 재조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베일에 싸인 덩 모(33)씨의 정체에 대한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9일 정치권과 외교가 등에 따르면 덩 씨는 김 전 총영사의 기밀자료를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총영사관에 의도적으로 접근한 스파이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일단 중국은 자국 정부 고위층과 친분을 미끼로 비자관련 이권에 개입한 단순 브로커라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덩 씨는 불륜 스캔들과 비자 부정발급 의혹 등으로 사직한 H 전 영사와 지난해 5월경 상하이시내 도로에서 우연처럼 자동차 접촉사고가 나면서 처음 알게 된 것으로 확인되는데 H 전 영사는 당시 비자신청 대리기관 지정업무를 담당하고 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견 우연한 만남으로 치부할 수도 있지만 상하이 공안과 시정부를 등에 업고 활동해온 덩 씨의 여러 가지 행각을 감안할 때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접근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심지어 덩 씨가 수시로 공안국 개인 통화내역과 CCTV 위치정보를 파악할 정도였기 때문에 사전 의도를 갖고 H 전 영사의 이동로에서 고의로 접촉사고를 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와중에 중국정부가 우리정부에 일방적인 스파이 사건으로 몰지 말라며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는데 일각에선 중국이 사실상 간첩사건을 인정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덩 씨는 또 유창한 한국어 구사능력과 함께 외모도 출중하고 배후에 유력한 인맥이 있어 상하이 현지 한인사회에서 이권에 개입하며 거액의 수수료를 챙겨온 브로커라고 알려져 있다.

비자신청 대리기관은 신청 수수료로 인당 300위안(약 5만원)을 받고 단체 관광객 불법체류 방지차원에서 3만위안정도 예치금을 받는 만큼 이권이 엄청난데 상하이엔 비자신청 대리기관으로 여행사 50개, 중국 정부기관 50개 등 약 100개정도가 선정돼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대해선 주기적인 심사가 이뤄져 대리기관들을 신규로 선정하거나 기존기관을 탈락시키고 있는데 중국에 있는 8개 한국 공관들은 작년을 기준으로 87만명에 달하는 중국인들에게 비자를 발급해준 것으로 추산돼 1인당 비자신청 수수료만 해도 2억6,000만원에 이른다.

그러나 덩 씨는 H 전 영사와 안 뒤 곧바로 불륜관계로 이어졌고 총영사관과 김정기 전 총영사에 접근한 다음 대리기관 지정을 요청했으나 결국 성사되진 못한 것으로 알려져 결국 현지 한국공관에서 국가기밀을 수집하려는 분명한 의도가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편 일각에선 덩 씨가 H 전 영사와 스캔들 전에도 이미 귀국한 K-P 등 다른 영사들과도 접촉하고 불륜관계를 가진 것으로 보고 있어 기밀유출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데 현지업무를 대가없이 도와주는 등 사전작업에 나선 것 역시 의도적 행위란 의혹이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orldnews.or.kr/news/view.php?idx=1041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