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사태 장기화… 카다피 망명 현실화 주목
- 반정부세력, 피해 늘어나자 사면조건 해외망명 제안
리비아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42년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의 망명설이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8일 외신에 따르면 독일의 슈테른은 최근 반정부세력이 카다피에게 사면을 조건으로 망명을 제안했다며, 국가위원회 대표 무스타파 압델 잘릴 전 법무장관의 발언을 집중 보도했다.
슈테른은 무스타파 압델 잘릴이 “카다피가 리비아를 떠나기로 동의하면 그에 대한 사법처리 요구를 포기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고 영국 BBC도 아랍 매체를 인용, 일가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조건으로 리비아를 떠나는 방안을 카다피가 반정부세력과 협의했다고 보도했다.
잘릴 전 장관은 이에 대해 카다피 정권이 접촉을 시도했다고 확인했으며 앞서 아랍권 위성방송인 알 자지라 역시 카다피가 망명협상 제안 등 대화에 나섰다는 사실을 전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외교가에선 이번 사태가 쉽게 해결되지 못하고 장기화되는 가운데 카다피의 망명이 카다피 정권과 반정부세력 모두에게 어느 정도 이득이 될 것이란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특히 카다피 망명설이 나오는 것 자체가 교착상태가 길어지면 양측 모두 불안감만 늘 수밖에 없다는 반증이며 조건이 합의되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실제로 반정부군은 최근 카다피 정부군의 잇따른 공습에 개전이후 첫 패배를 당해 기세가 꺾이면서 전세가 역전될 여지가 큰 것으로 보이나 공세를 강화한 카다피 정부군 역시 사망자가 늘어나며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는 등 상당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와중에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반대했던 프랑스는 미국과 영국이 주축이 된 찬성쪽으로 돌아선 것으로 파악되며 아랍권에서도 정부군의 공습저지를 위해 가세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만약 비행금지구역 설정안이 통과되면 카다피 정부군의 전투기 공습이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는 만큼 비행금지구역 설정 전 사면 및 망명을 통한 안전을 보장받으려고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 급부상한 카다피일가의 해외망명이 현실화될 수 있을 것인지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며 리비아 사태가 끝난 뒤 국제유가 폭등세가 진정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