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국가기관과 웹사이트가 2009년에 이어 또다시 디도스 공격을 받았다.
같은 날, 수도권 서북부 지역에서는 북한의 GPS교란 공격이 있었다.
이제 북한의 디도스 공격은 두번의 ‘잽’만 날아왔을 뿐이다. 어설프게 ‘잽’만 피하려고 해서는 앞으로 북한의 ‘카운터펀치’에 그대로 당하게 될 것이다.
북한은 최근 한반도 전역을 교란할 수 있는 신형 GPS장비를 수입했다.
북한이 이번 GPS공격을 펼친 이유는 우리의 대응능력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어느 때든지 전면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성능개량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디도스 공격도 마찬가지다. 더욱 정교한 사이버 테러를 준비하기 위해서다.
디도스 공격을 포함한 사이버테러와 전파테러에 보다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IT강국답게 예상되는 사이버테러 기술진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좀비 PC의 인터넷 접속을 제한하는 법안과 ‘국가사이버위기관리법안’ 등을 최근의 기술수준으로 업그레이드시켜 빨리 제정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지난 2009년 디도스 대란의 공격 근원지가 북한이라는 사실을 밝혀내는 데에만 3개월이란 세월을 소비했다.
우리 자유선진당의 박선영 의원이 중국에서 전자전을 감행하고 있는 지역과 빌딩까지 콕 집어서 공개했음에도 이 정부는 여전히 속수무책이다.
이번에도 디도스 공격주체에 대한 확실한 입증이 언제 이뤄질지 요원하다.
우리 정부는 3일 민간보안업체의 ‘사이버공격이 예상된다’는 신고를 받고도 사전경보를 발령하지 않다가 공격이 시작되자 서둘러 ‘주의’경보를 내렸다.
민간기업에서도 예상하는 공격을 정부에서 모르고, 게다가 이를 무시했다니!
북한은 앞으로도 디도스 공격과 전파테러 등 전자전을 계속할 것이다.
끊임없이 변종을 양산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기술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상시 대응체제 구축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확실하게 다뤄져야 한다.
정부는 범국가적 사이버테러 대응체제를 하루빨리 완벽하게 구축하라!
2011. 3. 7.
자유선진당 대변인 박 선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