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 일단 친박 놔두고 野와 우선 개헌논의?
- 정세균-박지원 등 잇단 발언 태도변화 계기로 주목
한나라당 친이계가 개헌논의와 관련해 친박계 등 당내 설득보다 야권과 논의를 본격화 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친이계는 당장 친박계의 무시전략으로 당내에선 논의가 진전될 수 없다는 인식아래 개헌에 찬성하는 선진당과 함께 원칙론적인 반대를 표명하나 실질적으로는 당내 개헌 찬성여론이 비등하고 있는 민주당과의 접촉면을 넓히면서 대화에 나설 전망이다.
우선 친이계는 개헌특위를 통해 논의를 진행하겠지만 상당수 최고위원 및 친박계, 소장파 반대론자들이 이견을 제시하는 상황에서는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될 수 없다는 인식아래 그동안 개헌논의에서 떨어져온 민주당 등 야당들과의 논의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여야를 두루 아우르는 이재오 특임장관의 역할이 실질적 개헌추진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데, 친이계는 앞서 ‘영수회담은 하되 개헌논의는 없다’고 공언했다 2월 국회의 개원과 함께 야당 지도부가 관심을 밝히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민주당 정세균 최고위원은 “여당이 통일된 안을 갖고 오면 나 같으면 응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고, 박지원 원내대표가 “한나라당 다수의원이 우리가 피할 수 없을 정도로 개헌을 요구한다면 특위같은 기구구성에 응할 수도 있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여권 일각에선 개헌추진을 위해선 야당과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들어 무시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는 친박계와 일을 도모하기보다, 민주당내 보수주의-실리주의 성향 인사들과 접촉해 소통 분위기를 조성한 뒤 친박계 등 반대파를 설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여권핵심에서 개헌을 포함해 정치개혁 추진임무를 부여받은 이재오 장관이 최근 “야당의원들과 많이 접촉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다 개헌 찬성”이란 입장을 밝힌 것도 눈길을 끈다.
따라서 친이계는 오는 24일부터 국회 대정부질문을 최대한 활용해 기본권 등 헌법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거론하며 분위기 조성에 나설 것으로 보이며, 친이계와 이 장관이 집중적으로 개헌추진의 각종 장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개헌전략의 선회조짐에 대해 그러지 않아도 심기가 편치 않은 상당수 지도부나 친박계 등의 반발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 제기되는데, 홍준표-서병수-나경원-정두언 최고위원 등이 안상수 대표-김무성 원내대표에 맞서 계속 반대주장을 할 여지도 많은 상황이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