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계 ‘개헌론’ 총력전
- - ‘함께 내일로’의원 30여명 토론회

▲ 이재오 특임장관과 안경률 한나라당 전사무총장/칸투데이 전형만기자
개헌 공론화의 분수령이 될 한나라당 의원총회를 앞두고 친이계 최대모임인 '함께 내일로'가 6일 서울 여의도 한 중식당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이재오 특임장관을 포함한 친이계 의원 30여명이 참석해 개헌 추진을 위한 기반 다지기에 나섰다.
이 장관은 이날 "최빈국이고 부패한 나라는 대통령제를 하고 있고 소득 3만 달러 이상이고 청렴한 나라는 의원내각제로 권력이 분산돼 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다음에 어떤 정권이 들어서든 이 정치 형태, 이 헌법을 이대로 넘겨주면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기는 힘들다"며 "이 정권은 끝나지만 다음 정권이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만들고 나라의 미래가 잘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헌법을 개정하는 것이 이명박 정권의 시대적 임무 중 하나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인당 국내총생산(GDP)가 3만 달러 이상인 24개 국가 중 우리같은 대통령제를 도입한 나라는 한 곳도 없다"며 "미국과 스위스 등 3개국이 대통령제지만 우리의 5년 단임제와는 차원이 다르다"며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 의지를 거듭 피력했다.
김영우 의원은 개헌 타이밍이 늦었다는 지적에 대해 "민주화 시대에서 개헌을 위한 적기는 현실에서 허구"라고 했고, 권택기 의원은 "2007년 4월 개헌 추진이 이미 당론으로 확정된 만큼 이번 개헌 의총은 당론 집행을 요구하는 자리"라고 주장했다.
안경률 의원은 "개헌은 21세기의 핵심 과제이자 국가 백년대계의 초석 다지는 일로, 국회가 해결해야 할 중대한 현실적 과제"라며 "이제 개헌에 대한 당내 의견을 속도 있게 수렴해서 당내 특위를 구성하는 한편 폭넓은 국민 공감대를 만들기 위해 책임 있게 나설 때"라고 밝혔다.
안 의원은 "미래지향적인 공정하고 정의로운 국민 헌법을 만들기 위한 소명 의식을 가져야 한다"며 "헌법은 시대정신과 국민 지혜의 총체"라고 말했다.
이처럼 이 장관을 비롯한 친이계 의원들이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을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당내 친박계는 물론 친이계 내부에서도 반발이 적지 않은 상황이라 개헌 논의에 탄력이 붙을지는 불투명하다.
<칸투데이 전형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