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286개 중 기관장 135명 연내 물갈이
- 3년이상 임기채운 만큼 절반가까이 교체인사 불가피
총 286개 공공기관 중 금년까지 임기 3년이상을 채우거나 공석 등으로 인해 교체인사가 불가피한 기관장이 135명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일 정치권과 관가에 따르면 공기업 및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인 ‘알리오’에서는 금년까지 기관장 임기가 끝나 교체인사가 불가피한 곳과 공석 중인 기관은 모두 135개에 달한다.
특히 정권교체와 18대 총선공천 파동여파로 기용됐던 정치권 출신 기관장들이 2012년 총선에 출마할 의사를 내비치고 있는데다가 그동안 현 정부 들어서도 소외받아온 일부 공신들 중 일부 친여 인사들이 적극적으로 연줄대기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되고 있다.
실제로 낙천-낙선된 한나라당 전직 국회의원들을 비롯해 퇴직한 고위급 관료들은 물론 대선캠프 및 인수위 등에 참여인사 등 정관계 출신자들이 올해 공기업 사장 및 공공기관 수장 인사를 놓고 인맥과 연줄 등을 총동원하는 물밑 암투를 벌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정가 관계자는 “현 정부 출범초기 각 기관장 인사는 주로 정권교체에 대한 기여와 함께 경영능력과 전문성이 고려됐다”며 “이들의 임기가 끝나가는 마당에 교체인사는 당연하고 그동안 소외돼왔던 정관계 인사들의 발탁이 지금으로선 가장 유력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정사회와 동반성장이 국정운영의 화두이긴 하지만 현 정부 임기 내 마지막 기회가 되는 만큼 올해 공기업 및 기관인사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일부 인사들은 자신의 인맥을 총동원해서 자리를 차지하려고 혈안이란 이야기도 있다”고 전했다.
따라서 청와대가 공기업 사장 및 공공기관장 인사기준을 어떻게 확정할지 관심을 끌고 있는데, 당장 올 3월부터 교체인사가 시작돼 67명의 기관장 임기가 끝나는 6월부터 8월에 절정을 이룰 전망이고 이번 임기가 만료되는 기관장은 대부분 정권교체 5개월내 임명된 경우다.
이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개최된 공공기관 선진화 워크숍을 통해 “훌륭히 일 잘하는 분은 그 직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제도를 검토해야 한다”라면서 “일 잘하는 분과 그렇지 않은 분이 같은 대우를 받아서는 안 된다”고 언급해 묘한 뉘앙스를 풍기기도 했다.
또한 2009년이래 2년 연속 공공기관 경영평가단장을 역임한 고려대 경제학과 이만우 교수는 “선거직후 2008년엔 대선에 도움을 준 인사들 위주로 기관장 자리를 차지했으나, 이번엔 전문성과 경영능력이 있는 인사들이 기관장을 맡아야 한다”라고 언급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교수는 또 “투명한 공공기관 평가를 강화해 ‘낙하산 인사’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는데 관가에선 정부가 오는 6월 발표될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기관장 교체인사에서 주요척도로 활용해 기관장 임기도 탄력적으로 운영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경영실적에 따라 임기에 구애받지 않고 연임되거나 임기가 남아도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실적이 저조하다면, 일찌감치 교체될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돼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프런티어타임스 송현섭 편집국장 21cshs@frontie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