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물가 안정에 총력'…설 연휴 전 마지막 대책회의
-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35% 저렴

▲ 기획재정부 물가안정대책회의 모습
정부가 설 연휴를 앞두고 돼지고기와 농축수산물, 지방 공공요금, 개인서비스 등 서민물가를 안정시키는데 모든 행정력을 투입키로 했다.
정부는 28일 임종룡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설 연휴 전 마지막 '물가안정대책회의'를 열고 지난 13일 발표한 '서민물가 안정을 위한 종합대책' 후속조치 추진현황과 추가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설 차례상 비용은 지난해(19만원)보다 20% 오른 23만원 수준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성수품 공급물량을 추가로 확대하는 등 끝까지 최선을 다해 설 물가와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제수용품 구입비용 조사결과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35% 저렴한 것으로 나타난 사실을 적극 홍보해 전통시장 활성화와 소비자의 알뜰장보기를 유도할 방침이다.
서민물가 안정 종합대책을 발표한지 2주가 지난 현재 등록금, 지방 공공요금 등의 동결 분위기가 확산되는 등 일부 긍정적인 성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물가여건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으로 앞서 발표된 대책이 실질적인 물가안정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에서 조속히 후속 조치를 추진키로 했다.
배추, 돼지고기 등 농축수산물 가격안정에 주력하고 특히 구제역으로 공급량이 크게 감소한 돼지고기에 대해서는 필요시 할당물량을 늘리는 등 적극적인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배추, 마늘 등도 수입시기를 최대한 앞당겨 2월 중에는 시장에 방출이 가능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상수도료 등 지방공공요금 인상압력을 조기에 차단하고 학원비, 자장면, 이미용료 등 개인서비스 요금에 대한 편승인상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최근 물가상승의 주원인인 석유제품과 국제원자재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는 가공식품 가격안정을 위한 노력도 강화할 방침이다.
물가정책에 대해 정부개입 논란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법률상 가능한 권한의 범위내에서 시장개방을 통한 수급안정, 유통질서개선, 불공정행위 방지 등 대응조치를 취해왔고 앞으로도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노력을 흔들림없이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기획재정부 미디어기획팀 정지나(jnjung@mosf.go.kr>